본문영역
기존의 TOT와 Advanced TOT의 차이점
구분 | Advanced TOT | 기존 TOT |
---|---|---|
차이점 | 강남여성병원의 기존의 슬링의 꼬임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했고, 특허를 획득해서 쓰고 있음. | 슬링 가운데 잡고 있는 판판한 면이 없음으로 인해서 슬링등이 꼬일수 있음. 꼬임은 요실금수술의 실패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. |
차이점(슬링의 위치) | 슬링이 들어가는 페쇄공(Obturator foramen) 기존 보다 윗쪽으로 올림으로써 좀 더 질과의 마찰면을 줄여서 질쪽으로 슬링이 빠져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. | 슬링이 들어가는 폐쇄공 (Obturator foramen) 이 옆쪽으로 해서 질과의 마찰면이 많아서 질쪽으로 슬링이 빠져 나오는 경우가 있고 부부관계시 파트너가 뭐가 걸린다는 호소가 가끔씩 있다. |
차이점(요도위치) | 슬링은 요도의 처음부분(방광과 가까운부분)에 위치시킴으로 인해서 소변후 소변찔끔거림(Postvoiding drilling)을 없앰. | 슬링을 요도의 중간부위에 위치시킴으로 인해서 소변후 소변찔끔거림이 있을 수 있음. |
단점 | 수술기술이 어렵다. | 수술기술이 쉽다. |

요실금이란?
방광 및 요도 기능의 조절 상실로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이 새는 현상으로
우리 나라 중년 여성 1/3이 요실금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다양한 발생연령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질병입니다.

복압성 요실금
(긴장성 요실금)
-
전체 요실금의 70-80%로 가장 흔한 요실금입니다.
-
웃거나, 기침, 뛰거나 할 때 소변이 나옵니다.
-
골반인대,요도 괄약근의 손상 등이 원인입니다.
-
폐경기 이후에는 증상이 악화됩니다.
-
산후 6개월 이후에도 지속되면 치료를 요합니다.
(정상 분만 후에 발생 가능) -
나이가 들고 비만일수록 빈도 증가
절박성 요실금
-
전체 요실금의 10-20%
-
갑자기 소변이 마렵습니다.
-
한번 마려우면 소변을 참기가 어렵습니다.
-
화장실을 찾는 도중에 소변이 흐르기도 합니다.
-
소변을 자주 봅니다.
-
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30% 정도가 절박성 요실금 동반



요실금 검사 방법
요실금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병원에 내원하시면
간단한 부인과 검사(초음파, 소변검사)와 요기능 검사를 통해
정확한 진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요역동학 검사
방광과 요도의 생리적인 기능 변화를 방광 내에 삽입한 가는 관을 통하여
측정하는 방법으로 방광 및 요도괄약근의 기능을 파악하고
요실금의 종류를 정확하게 확인하여
현재 어떤 치료가 효과적인지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.




-
수술경로
질전벽 + 대퇴부
-
수술재료
Polypropylene mesh,
Sung’s Hole mesh (sh mesh)
강남여성병원 전용 Tape -
수술시간
15분 전 후
-
마취방법
국소 혹은 척추마취
-
입원기간
하루
-
합병증
거의 없음
“
수술 후에도 걱정?!
강남여성병원에서는 NO!
-
1박 2일 입원 후 일상생활 바로 가능
-
무 합병증
상처 관리, 항생제 처방 -
좌욕실시
지속적인 염증 관리 -
수술 후 1, 3달 단위로 꾸준한 사후 관리 진행
